미국주식 뉴스

달러 약세 + 채권 수익률하락, 왜 위험자산에 호재일까

미국주식언니 2025. 9. 18. 03:33
반응형

달러 약세와 채권 수익률 하락

장기 미국 국채 수익률(예: 30년물)이 낮아지고 달러가 다른 주요 통화 대비 약세 흐름이다. 그래서 금이나 원유 등 원자재 자산들이 주목받고 글로벌 자산 시장에서는 위험 자산(risk assets)에 대한 관심이 조금씩 살아나는 분위기이다.

1. 달러 약세

달러 가치가 떨어지면 해외 투자자들은 원자재(금·원유)나 다른 통화 자산을 더 선호하게 된다.

왜? 왜 원자재나 다른 자산을 선호하게 될까?
원자재(금, 원유 등)는 국제 거래에서 보통 달러 기준으로 가격이 책정된다.
달러 가치가 떨어지면 다른 나라 투자자 입장에서는 같은 원자재를 더 싸게 살 수 있는 효과가 생기게 된다.
예) 금값이 1,800달러인데 달러 가치가 낮아지면 원화·유로화로 환산했을 때 더 많은 금을 매입할 수 있다. 그래서 해외 자금이 금·원유 등 원자재 시장으로 더 들어오게 되고 "달러 약세 = 원자재 강세" 공식이 생기게 된다.

2. 채권 수익률 하락

미국 국채 수익률이 낮아진다는 건 안전자산 수요가 늘었거나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반영된 것이다.

왜? 안전자산 수요/금리 인하 기대가 반영되나?
국채 수익률은 간단히 말해 "미국 정부가 빌려 쓰는 돈에 주는 이자율"이다.
투자자들이 국채를 많이 사면 → 국채 가격은 올라가고 → 그 반대로 수익률(금리)은 내려각게된다.
즉, 수익률 하락 = 국채를 사려는 사람이 많다 = 안전자산 선호 심리 강화라는 뜻이다.
또 다른 해석은 “연준이 조만간 금리를 낮출 것”이라는 기대감이 커지면, 장기 금리(국채 수익률)가 먼저 반영되게된다.

3. 증시와 연결

달러 약세 + 채권 수익률 하락은 위험자산 선호 심리를 자극하기 때문에 신흥국 주식·원자재 기업 주식에 호재가 된다.

왜 위험자산(주식 등)이 주목받을까?

기본 공식:

  • 달러 약세 → 해외 투자자들이 달러 자산보다 신흥국 주식·원자재 기업 주식 선호.
  • 채권 수익률 하락 → 채권 투자 매력이 줄어듦 → 상대적으로 주식 같은 위험자산 매력이 커짐.

주식은 본질적으로 위험자산이다. 안전자산은 현금·달러·국채 이고 위험자산은 주식·원자재·신흥국 자산 이다.

그래서 달러 약세 + 채권 수익률 하락 = 자금이 더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 주식시장으로 이동하는 구조가 만들어지게된다.

 

항목 핵심 메커니즘 시장 영향
달러 약세 원자재 달러 표시, 달러 약세 시 해외 구매력 상승 금·원유 등 원자재 강세, 해외 자금 유입
채권 수익률 하락 국채 매수 증가 → 수익률 하락, 금리 인하 기대 반영 안전자산 선호 강화, 채권 매력 감소
증시 연결 달러 약세 + 금리 인하 기대 → 위험자산 선호 신흥국 주식·원자재 기업 주식 강세 요인
반응형